pchar 12월 7일, 2021에 포스트됨 공유하기 12월 7일, 2021에 포스트됨 xe8에서 wininet.pas 를 이용하여 HTTPS 통신을 하고있습니다. 위 라이브러리는 윈도우에 있는 wininet.dll 을 이용하는것으로 아는데요. 혹시 아래 나온 설명이 델파이로만든 일반프로그램에서 사용시에도 문제가 되는걸까요? 아래 내용 에서는 IIS 및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설명을 하고있어서, 데몬 방식(윈도우 서비스 어플)을 의미하는것인지 잘 모르겠어서 문의드려봅니다. 혹시 알고계신 정보가 있으면 공유 바랍니다. 지원종료시 사용에 문제가 되면 WinHTTP 라이브러리인 RESTClient, RESTRequest, RESTResponse 로 변환을 해야하는지... 2022년6월15일에 IE 11 지원 종료 관련 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troubleshoot/browsers/wininet-not-supported-in-services 답변 바랍니다. 인용하기 이 댓글 링크 다른 사이트에 공유하기 더 많은 공유 선택 사항
0 험프리 12월 13일, 2021에 포스트됨 공유하기 12월 13일, 2021에 포스트됨 질문하신 링크를 보면 WinInet의 경우 Internet Explorer에서 사용하도록 개발되고, 델파이에서 WinInet을 사용하려면 Internet Explorer의 모듈을 사용하고, IE의 지원에 영향을 받는 것 같습니다. On 2021. 12. 7. at 오후 9시 48분, pchar said: 2022년6월15일에 IE 11 지원 종료 관련 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troubleshoot/browsers/wininet-not-supported-in-services 위 이유로, wininet으로 구현된 델파이 코드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파악되며, 다른 기술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위 문서에서도 WinInet 기술을 WinHTTP로 사용하도록 솔루션합니다. 델파이의 솔루션도 같은 맥락으로 HTTP 클라이언트를 추천합니다. HTTP 클라이언트(TNetHTTPClient)는 윈도우에서는 WinHTTP를 사용하고, HTTPS를 라이브러리 단에서 지원합니다. unit System.Net.HttpClient.Win; interface {$HPPEMIT NOUSINGNAMESPACE} {$HPPEMIT '#pragma comment(lib, "winhttp")'} {$HPPEMIT '#pragma comment(lib, "crypt32")'} 다음 문서를 참고해 HTTP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, https://docwiki.embarcadero.com/RADStudio/Alexandria/en/Using_an_HTTP_Client 직접 마이그레이션 진행해 보시며 궁금하신 내용은 해당 게시판을 통해 질문 부탁드립니다.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또는 추가 궁금한 내용을 답변 부탁드립니다. 인용하기 이 댓글 링크 다른 사이트에 공유하기 더 많은 공유 선택 사항
질문
pchar
xe8에서 wininet.pas 를 이용하여 HTTPS 통신을 하고있습니다.
위 라이브러리는 윈도우에 있는 wininet.dll 을 이용하는것으로 아는데요.
혹시 아래 나온 설명이 델파이로만든 일반프로그램에서 사용시에도 문제가 되는걸까요?
아래 내용 에서는 IIS 및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설명을 하고있어서, 데몬 방식(윈도우 서비스 어플)을 의미하는것인지 잘 모르겠어서 문의드려봅니다. 혹시 알고계신 정보가 있으면 공유 바랍니다.
지원종료시 사용에 문제가 되면 WinHTTP 라이브러리인 RESTClient, RESTRequest, RESTResponse 로 변환을 해야하는지...
2022년6월15일에 IE 11 지원 종료 관련
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troubleshoot/browsers/wininet-not-supported-in-services
답변 바랍니다.
이 댓글 링크
다른 사이트에 공유하기
1 answer to this question
Recommended Posts
이 토의에 참여하세요
지금 바로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. 그리고 나서 가입해도 됩니다. 이미 회원이라면, 지금 로그인하고 본인 계정으로 의견을 남기세요.